퍼센트 계산 쉽게 하기
퍼센트 계산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업무나 재정 계획을 세울 때도 자주 필요한 수학적 계산입니다.
퍼센트 계산 쉽게 하는 방법은 자주 쓰는 퍼센트 계산 공식을 기억해 두거나 시중에 많이 나와 있는 퍼센트 계산기를 활용 하시면 됩니다.
몇가지 공식을 알아두시면 생각보다 빠르게 확인을 하실 수 있는것이 바로 퍼센트 계산입니다.
퍼센트 계산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부분은 바로 네이버 계산기입니다.
네이버 계산기는 네이버 검색창에서 입력하시면 바로 계산을 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대부분 포털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목차
퍼센트 계산 빨리 하기 위해서 미리 몇가지 공식을 외워두시면 편합니다.
1. 기본 퍼센트 계산
부분을 전체로 나누고, 그 결과에 100을 곱하면 퍼센트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예: "부분 ÷ 전체 × 100"
2. 금액의 퍼센트 계산
전체 금액에 퍼센트를 백분율로 변환한 값을 곱하면 됩니다.
예: "전체 금액 × (퍼센트 ÷ 100)"
3. 할인 퍼센트 계산
원래 가격에서 할인액을 빼면 됩니다. 할인액은 원래 가격에 할인율을 곱한 값입니다.
예: "원래 가격 - (원래 가격 × 할인율 ÷ 100)"
4. 세금 계산
원래 가격에 세율을 더한 값을 곱하면 세금 포함 가격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예: "원래 가격 × (1 + 세율 ÷ 100)"
5. 연봉 인상률 계산
연봉 인상률은 인상된 금액을 기존 연봉으로 나누고 그 결과를 100으로 곱해 계산합니다.
예: "인상된 금액 ÷ 기존 연봉 × 100"
6. 주식 수익률 계산
주식의 현재 가격에서 구매 가격을 빼고, 그 값을 구매 가격으로 나누어 100을 곱합니다.
예: "(현재 가격 - 구매 가격) ÷ 구매 가격 × 100"
7. 상위 퍼센트 계산
특정 위치가 전체 중 몇 퍼센트인지를 계산합니다.
예: "위치 값 ÷ 전체 값 × 100"
8. 변화된 퍼센트 계산
기존 값과 변경된 값의 차이를 기존 값으로 나누고, 그 결과에 100을 곱해 계산합니다.
예: "(변경된 값 - 기존 값) ÷ 기존 값 × 100"
이것저것도 귀찮고 퍼센트 계산을 쉽게 할려면은 쓰시는 브라우저의 기준 검색엔진이 구글인 경우 브라우저 주소 입력창에 수식을 바로 쓰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 주소창에 100의 10%라고 입력을 하고 엔터를 치시면 구글에서 제공하는 퍼센트 계산기가 미리 그 값을 읽어서 계산을 해줍니다.
이로 인해서 퍼센트 계산을 빠르게 하실 수 있습니다.
퍼센트 계산은 실제 생활에서 자주 필요한 계산입니다.
다양한 퍼센트 계산기를 활용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엑셀과 같은 도구를 활용하면 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식, 연봉 협상 등 다양한 상황에서 퍼센트 계산기를 유용하게 활용해 보세요.